안녕하세요. 자동차 외장관리 매니져 박기사입니다. 오늘은 백화현상이 왜 생기는지 그리고 해결방법은 무엇인지 알아볼게요. 백화현상, 흔히 생기는 경우는 아니고 보통 연식이 좀 된 차량들이 많아요. 그럼 백화현상은 왜 생기느냐 하면, 결론적으로 말하자면 도색 하자입니다.
자동차도색은 색상페인트(베이스) 도색후에 투명(클리어)을 도색하는 것으로 마무리 되는데요. 투명은 반짝반짝 광이 나서 차를 이쁘게 보이게 할 뿐만 아니라 도장면을 보호하는 역활을 합니다. 베이스는 시너를 섞어 점도를 알맞게 만들어 도색하는 반면, 클리어는 주제와 경화제 혼합을 해서 도색을 하게 되는데요. 주제와 경화제가 화학적으로 반응하면서 굳게 되는겁니다.
페인트 회사는 클리어를 만들때 주제와 경화제의 비율을 다양하게 제조합니다. 주제와 경화제 비율이 2:1 짜리도 있고 3:1 , 4:1 , 10:1 짜리까지 다양합니다. 각각 경화되는 속도도 다르고 품질도 달라요. 이에 따라 가격도 달라져요. 보통 자동차 수리하는 공업사에서는 클리어를 비율대로 다 가지고 있지는 않고, 1가지만 쓰기도 하고 많아야 2가지 정도 보유하며 작업을 합니다.
그럼 백화현상이 왜 생기느냐 하면, 현장에서 작업자가 정신없이 작업하다 비율을 헷갈려서, 간혹 3:1 짜리 클리어인데 4:1 로 혼합한다든지, 착각해서 도색하는 경우가 있어요. 이렇게 되면 적정 배합이 아니기 때문에 추후에 하자가 생기게 됩니다.
드물긴 하지만, 페인트 제조사에서 투명을 제조할때부터 불량품이 나오기도 하구요. 때문에 자동차를 구입후 한번도 도색을 하지 않은 차량에서도 백화현상이 생기기도 합니다.
아반테HD 차량입니다. 보시다시피 차량의 얼굴인 본넷이 이모양이에요. 이것 때문에 상담받은 고객인데, 수리하고자 오셨어요.
본넷이 허옇게 되서 광이 하나도 안나네요. 새차 뽑아서 지금까지 쭉 타는 1인 신조 차량입니다.
중고차였다면 이전 이력을 알수가 없을텐테, 1인 신조차라 상담하기 편했네요.
예전 사고로 본넷을 교환한 이력이 있다고 하네요. 그때 본넷 도색한게 문제가 생긴거에요.
본넷은 차량 패널중 가장 가혹한 환경에 처해 있어요. 햇빛 다이렉트 받는건 당연한거고 엔진 복사열에 혹사되니까요.
도색을 한번도 안한 차량인데도 백화 현상이 일어나기도 합니다. 지금까지 7년 영업하면서 2대 정도 봤었네요. 둘다 윈스톰 차량이었는데, 두대 다 1인 신조차량이라서 도색 유무는 확인 가능했지요. 사진처럼 커터칼로 그은것처럼 상처들이 좍좍 있었어요. 백화현상까지 진행은 되지 않았었는데, 아마도 시간이 더 진행되면 백화까지 갈지도 모르겠지만요. 이런 류의 하자는 페인트층의 하자라서 작업할때 철판이 나올때까지 바닥까지 확실히 박리를 해야 되요. 박리후에 도색을 새로 해야 재발이 안됩니다.
박리한 사진을 깜빡하고 못찍었어요. 몇일전에 비슷한 작업한 경우가 있으니 그때 자료를 보시면 이해가 빠를겁니다. 박리가 끝나면 서페이서 도색으로 보듬어줍니다. 서페이서 도색을 하지 않으면 이후 뿌리는 상도도장과 트러블을 일으켜 하자가 나게 됩니다.
[ ▶ 백화현상 온 본넷 까내는 자료 ◀ ] |
본도색이 끝났네요. 이제 열처리후에 차량에 장착하면 됩니다.
세차까지 마친뒤 차주분 기다리는 아반테 되겠습니다.
어때요? 이쁘지요?
얼굴이 이정도 광은 나야 차라고 말할수 있지요.
다시 재발 할 일은 없을겁니다.
안심하시고 안전하게 운행만 하면 됩니다.
잘 타세요.
'자동차 외장관리 > 판금도색 '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혹시 영업배상 책임보험 아시나요? (0) | 2018.05.10 |
---|---|
자동차사고로 인한 자동차보험 할증, 막는 방법 알려드리지요 (0) | 2018.05.02 |
차 빼다가 긁었는데, 어디에서 자동차 판금도색 해야 할까요? (0) | 2018.04.27 |
현대해상 자동차보험 대물배상은 어떻게 처리되나요? (0) | 2018.04.25 |
자동차판금도색 수리 잘하는 업체 어떻게 구별해야 하나? (0) | 2018.04.25 |